Skip to content

Commit

Permalink
Docs: 박승훈 8장
Browse files Browse the repository at this point in the history
  • Loading branch information
Orchemi committed Sep 9, 2024
1 parent 6814956 commit d49cb5d
Showing 1 changed file with 255 additions and 0 deletions.
255 changes: 255 additions & 0 deletions 8장/박승훈.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255 @@
## Topic 45 : 요구 사항의 구렁텅이

> "완성이라는 것은 더 이상 더할 것이 없을 때가 아니라, 더 이상 뺄 것이 없을 때 달성되는 것이다."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br />

> 나의 생각
멋진 말인 것 같습니다. 채울 때가 아니라 본질과 핵심을 남기고 깎아낼 때가 항상 더 어려웠던 것 같아요. 특히 자소서랄까...

<br />

### 자신이 뭘 원하는지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 무엇을 다루든 정확한 명세란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 우리의 일은 사람들이 자신이 원하는 바를 깨닫도록 돕는 것이다.
- **프로그래머는 사람들이 자신이 원하는 바를 깨닫도록 돕는다.**
- (잘해서 기획자를 돕자!)

<br />

### 상담 치료로서의 프로그래밍

- 의뢰인은 현재 발생한 문제를 푸는 전술적인 사안을 가지고 온다.
- 신입 개발자들이 자주 범하는 실수는 이런 요청 사항을 받았을 때 바로 해결책을 구현해 버리는 것이다.
- 최초의 요청 사항은 궁극적인 요구 사항이 아니다.
- 의뢰인의 요청 사항은 사실 함께 탐험을 떠나자는 초대장이다.
- 여러분의 역할은 의뢰인의 말을 해석해서 그로 인한 영향을 다시 알려주는 것이다.

<br />

> 나의 생각
기획자가 장황한 개발 요구사항을 들고 왔을 때, 조금 더 기획자가 바라는 서비스에 대해서 길을 밝혀주고 더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의견을 내서 궁극적인 가치를 더 쉽고 합리적인 길로 갈 수 있도록 힘써야겠다고 생각했다.

<br />

### 요구 사항은 과정이다.

- 요구사항은 피드백을 반복하며 알게 된다.
- "말씀하신 게 이런 것입니까?" 부류의 피드백에 의존해야 한다.
- 프로젝트 전체를 요구 사항 수집 과정으로 보아야 한다.
- 짧은 주기로 반복하여 반복 주기가 끝날 때마다 의뢰인에게 피드백을 받는다.
- 피드백 수집은 의뢰인과의 관계를 쌓아 나가는 시작점이기도 하다.

<br />

> 나의 생각
개발 일을 하면서 내가 이해한 기획 요소들이 실제로 의뢰인(보통 기획자)이 요구하는 것과 실상이 달랐다는 사실을 종종 마주하곤 한다. 그래서 모호한 부분은 정확히 짚고 넘어가고, 완전히 일을 마치고 피드백을 받는 게 아니라, 중간중간 확인을 하고 넘어가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다.

<br />

### 요구사항 vs 정책

> "정책은 메타데이터다."
- 현재의 정책 정보는 시스템이 지원하는 것들 중 한 사례일 뿐이다.
- 시스템은 다양한 정책을 처리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구현해야 한다.

<br />

> 나의 생각
굉장히 일반적인 공통 컴포넌트를 제작하거나 디자인시스템을 개발할 때, 개발자가 이런 부분까지 조작하고 커스텀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확장성을 고려하며 만들게 되는 것 같다고 생각했다. 즉, 말 그래도 시스템적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특히 도메인이 덜 묻어있는 general한 컴포넌트일수록 더 그런 경향이 강했다. 이런 사례와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br />

### 요구사항 문서화

> "유일한 요구사항 문서는 '작동하는 코드'이다."
- 문서는 구현 과정에서 안내 역할을 하는 이정표일 뿐이다.
- 의뢰인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처음에는 잘 모른다. 따라서 의뢰인이 말한 것을 확장하여 법률 문서에 준하는 수준으로 만든 문서는 그저 사상누각에 불과하다.
- 요구사항 명세의 문제 : **"의뢰인은 절대 그걸 읽지 않는다."**

<br />

### 지나치게 자세한 명세

- 문서를 만들 때 생기는 또 다른 문제 : **지나치게 자세히 서술하는 것**
- 좋은 요구 사항은 추상적이다. 필요한 사항을 정확히 반영하는 가장 간단한 표현이 최고다.
- 요구 사항은 필요를 표현하는 것이다.

<br />

> 나의 생각
장황한 문서의 문제점인 "의뢰인은 절대 그걸 읽지 않는다"라는 부분에서 현업에서 기획자가 A4 몇 장에 달하는 기획 요구사항을 굉장히 상세하게 적어주는 점에서 감사한 점이 있으면서도 실제로 모두 읽지 못하는 상황에 대입이 되어 공감이 되기도 했다.

더 짧고 강력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문서 작성보다는 직관적인 소통에 더 힘쓸 필요가 있겠다고 느꼈다.

<br />

### 용어 사전 관리하기

- 프로젝트 용어 사전을 만들고 관리하라.
-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모든 용어와 어휘를 모아 놓은 단 하나의 장소여야 한다.**
-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모든 사람이 일관성을 위해 동일한 용어 사전을 사용해야 한다.
- 사용자와 개발자가 동일한 것을 다른 이름으로 부른다면 프로젝트는 성공하기 힘들다. 같은 이름으로 서로 다른 것을 지칭한다면 더더욱 힘들다.

<br />

> 나의 생각
현재 지원서 리뉴얼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UI/멘탈 모델의 구조를 기획/프론트/백엔드에서 각자 다른 이름으로 부르는 것을 보며 용어의 통합이 필요하다고 이전부터 느껴왔고 몇몇 목소리도 많았는데, 총대 메고 용어 사전을 만드는 게 필요할 수도 있겠다고 생각이 든다.

<br />

## Topic 46 : 불가능한 퍼즐 풀기

> 불가능한 일을 해내는 것은 "요구사항에 대한 조금 다른 해석", 그게 다였다.
- 그럴싸해 보이는 제약 조건이 사실은 전혀 제약 조건이 아닐 수도 있다.
- 유효하지 않은 제약을 인식하고 그걸 무시해버려라.
- 제약이나 조건들의 경계선을 파악하라.
- 제약의 인식과 함께 주어진 자유도를 파악하라.

<br />

### 풀리지 않는 문제와 마주쳤다면?

- 생각해볼 수 있는 모든 해결 경로 후보를 눈 앞에 나열해보라.
- 아무리 쓸모없고 바보 같아 보이는 경로라도 절대 버리지 말라.
- 그리고 목록을 하나씩 점검하면서 왜 그 경로를 따라갈 수 없는지 설명해보라.
- 제약을 범주별로 나누고 우선순위를 매겨라.
- 제일 구속이 심한 제약부터 파악해 내고, 나머지 제약을 그 안에서 맞춰보라.

<br />

### 묵은 제약을 검토하라

- 일을 시작할 때의 제약들이 지금도 모두 적용되는가?
- 제약 조건의 해석이 아직도 타당한가?
- 시간이 지나면 제약은 변화한다.
-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묵은 제약을 유지하지 않도록 주의하라.

<br />

### 자신만의 방법에서 빠져나오라

> "딴짓을 한 사람이 의식적으로 노력한 사람보다 복잡한 문제 해결 과제를 더 잘 해냈다."
여러분이 일부러 딴짓을 하고 있을 때 갑자기 여러분의 머릿속에 답이 떠오르는 일이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지 놀라게 될 것이다.

<br />

> 나의 생각
회사에서 일단 해놓고 나왔지만 마음에 안 들었던 개발 내용이, 버스를 타려고 기다리고 있는데 번뜩이는 해결방법이 생각나서 바로 뚝딱 해결했던 경험이 글을 읽는 며칠 전에 있었다. 주의를 벗어나서 의식이 아닌 무의식이 문제를 해결해주는 사례는 많았고, 이를 잘 활용할 수 있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br />

### 행운은 준비된 사람에게 찾아온다.

- 뇌의 무의식 영역에 원료를 많이 주입해야 한다.
- 문제 해결에 필요한 원료는 바로 해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경험이다.

<br />

## Topic 47 : 함께 일하기

> "만들고 싶은 코드 구조에 맞춰 팀을 조직하라. 예를 들면 팀이 여러 지역으로 나뉘어 있으면 더 모듈화, 분산화된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경향이 있다."
<br />

### 짝 프로그래밍(pair programming)

- 개발을 실행하는 개발자(driver)는 낮은 수준의 세부 사항에 집중한다. (문법이나 코딩 스타일 등)
- 지시를 내리는 개발자(navigator)는 더 높은 수준의 문제에 집중한다. (전체적인 설계, 구조 등)
- 이 고민 리소스의 분리는 제한적인 인간의 뇌 용량을 극복하고 두 개의 뇌를 유기적으로 개발 진행에 활용할 수 있게 한다.

<br />

### 상대방의 존재로 인한 효과

- 서로의 존재로 인해 생기는 사회적인 압력은 변수 이름을 foo로 짓는 것 같은 나쁜 습관이나 약점으로부터 우리를 지켜준다.
- 다른 사람이 지켜보고 있기에 민망할 수 있는 꼼수를 덜 쓰고, 결과적으로 프로그램의 품질이 좋아지게 된다.

<br />

> 나의 생각
페어프로그래밍의 의외의 효과인 것 같다. 사실 페어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정말 체감하는 효과였던 것 같은데, 이렇게 글로 표현된 것은 처음 보는 것 같다. 너무 적나라하기 때문이었을까.

<br />

### 몹 프로그래밍(mob programming)

- 몹 프로그래밍은 '폭도(mob)'를 의미하는데, 이는 집단으로 무언가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 셋 이상의 사람이 참여하는 짝 프로그래밍의 확장판이다.
- 실시간 코딩을 곁들인 밀접한 협업
- (처음 들어봐서 신기하네요.)

<br />

### 함께 일하는 방법

- 코드만 비판하고 사람을 비판하지 말라.
- 다른 사람의 관점을 듣고 이해하려고 노력하라. 다른 것은 틀린 것이 아니다.
- 자주 회고를 하라. 그래서 다음 번에 시도하거나 개선할 점을 찾아라.

<br />

> 나의 생각
- 좋은 조언이라고 생각한다. 진정으로 함께 일하기 위한 노하우인 듯하다. 이번 토픽의 전체 내용을 생각해봤을 때 물론 여러 장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당장 원맨 리소스를 온전하게 프로젝트를 녹이기 위해서 각자 뛰고 있는 상황에, 페어/몹 프로그래밍으로 취할 수 있는 이점이 드라마틱할 지, 그리고 현업의 상황이 이를 이해해줄지 의문이 들기도 했다. 적용한다면 어떻게 할 수 있을지 고민이 필요한 포인트인 것도 같다.

<br />

## Topic 48 : 애자일의 핵심

> 누군가가 "이걸 하세요. 그러면 애자일인 겁니다."라고 한다면 이건 틀린 말이다. 정의상 그렇다.
- 애자일의 가치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더 나은 방법을 지속적으로 탐구하는 과정에서 찾고 알게 되는 것이다.
- 애자일 프로세스라는 것은 있을 수 없다. 변화에 대응하는 것, 맞부딪히는 미지의 것에 대응하는 것이 전부이기 때문이다.
- 피드백을 수집하고 그에 대응하라.
- 무엇을 하라고 알려주지는 않는다. 대신 **할 일을 결정할 때 무엇을 추구해야 할지를 알려준다.**

<br />

### 개발의 더 나은 방법들

|AS-IS|TO-BE|
|--|--|
| 공정과 도구 | 개인과 상호작용 |
| 포괄적인 문서 |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
| 계약 협상 | 고객과의 협력 |
| 계획을 따르기 | 변화에 대응하기 |

<br />

### 애자일하게 일하는 방법

1. 여러분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내라.
2. 도달하고 싶은 곳을 향하여 의미 있는 발걸음을 가능한 한 작게 옮겨라.
3. 어디에 도착했는지 평가하고, 망가트린 것이 있으면 고쳐라.

**지속적으로 프로세스를 실험하지 않는 팀은 애자일 팀이 아니다.**

<br />

### 이 과정이 설계를 주도한다.

- 좋은 설계의 척도는 설계의 결과물을 얼마나 바꾸기 쉬운지로 판단한다.
- 피드백 고리를 효율적으로 만들려면 가능한 한 고치는 일이 쉬워야 한다.
- 애자일이 전반적으로 작동하게 하려면 좋은 설계를 만들어야 한다.

<br />

> 나의 생각
우리 팀도 팀장님이 200만원 사비를 내고 애자일 교육을 따로 받으셨다고, 팀원들을 다 모아서 애자일의 정의부터 이후 프로젝트의 진행 방향에 대한 가이드를 잡아주신 적이 있다. 그런데 아쉽게도 지향하고자 하는 방향과 달리 커다란 워터폴을 잘게 자른 모습으로 어쩔 수 없이 변해버렸다. 서비스의 최종 모습에 대한 기획적인 목표, 그리고 고객사에 공문을 내놓은 마감기한이 있고, 이를 쫓아가는 과정을 밟으며 이상과 현실은 많이 다름을 느끼는 현장 속에 있다.

애자일은 결국 피드백을 모으고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라면, 이후에는 이렇게 애자일, 그리고 그 저면의 가치를 더 잘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고 생각했다. 회사 생활을 하면서 가능할지는 아직 모르겠다.

0 comments on commit d49cb5d

Please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