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BFS() {
var node = this.root,
data = [],
queue = [];
queue.push(node)
while(queue.length){
node = queue.shift();
data.push(node.value);
if(node.left) queue.push(node.left);
if(node.right) queue.push(node.right);
}
return data;
}
루트에서부터 한 단계씩 내려오면서 해당 단계의 노드를 탐색하는 방법
위 예제에서는 이진 탐색 트리로 예를 들어서 왼쪽과 오른쪽만 탐색하지만, 삼진이면 왼,중,오, 그냥 트리라면 자식 전부를 배열로 담아도 될 것이다.
DFSPreOrder(){ // 전위 순회 (Root, Left, Right)
var data = [];
function traverse(node) {
data.push(node.value);
if(node.left) traverse(node.left);
if(node.right) traverse(node.right);
}
traverse(this.root);
return data;
}
DFSPostOrder() { // 후위 순회 (Left, Right, Root)
var data = [];
function traverse(node) {
if (node.left) traverse(node.left);
if (node.right) traverse(node.right);
data.push(node.value);
}
traverse(this.root);
return data;
}
DFSInOrder() { // 정위 순회 (Left, Root, Right)
var data = [];
function traverse(node) {
if (node.left) traverse(node.left);
data.push(node.value);
if (node.right) traverse(node.right);
}
traverse(this.root);
return data;
}
DFS에서는 이름 그대로 리프(Leaf)까지 일단 내려간 다음 위로 올라오면서 탐색하는 기법이다.
세가지 순회 방법이 있는데 루트부터 탐색하면서 내려갈지, 왼쪽을 다 탐색한 뒤 루트를 거친다음에 오른쪽을 탐색할지, 오른쪽 노드를 다 거치고 루트를 마지막으로 탐색할지로 나뉜다.
DFS, BFS 모두 모든 노드를 한번씩 방문해야하니 시간 복잡도는 같다. 하지만 공간복잡도는 다르다.
BFS는 Queue에 수평의 모든 노드를 넣는다. 만약 좌우로 넓게 펼쳐진 트리가 있다면 그 모든 데이터를 큐에 집어넣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DFS가 메모리 측면에서 더 나을 것이다.
하지만 한 쪽으로 치우쳐져 있어서 밑으로 쭉 뻗어있는 트리라면 DFS는 상위 레벨에 있는 노드를 전부 메모리에 저장해놓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BFS가 더 낫다고 본다.
딱히 무엇이 더 뛰어나다 하는 것은 없다. 어떤 순서로 할지 바꾸는 것이 어려운 것도 아니기 때문에 원하는 탐색방법을 쓰면 된다.
트리에 따라 다르겠지만 이진 탐색 트리의 경우에는 노드의 값이 정렬돼있기 때문에 정렬된 순서로 탐색하고자 한다면 정위 순회로 탐색하면 좋다.
전위와 후위 순회는 Root의 값을 바로 찾을 수 있지만 정위 순회 같은 경우에는 Root의 값이 무엇인지 알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