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120 lines (80 loc) · 4.8 KB

README.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120 lines (80 loc) · 4.8 KB

DMS

  • DMS는 효율적인 기숙사 관리를 위한 기숙사 관리 시스템입니다.
    • 사감선생님께선 웹으로 학생 정보를 편하게 조회, 관리하고 자습실이나 신청 데이터, 상/벌점 내역을 모아서 볼 수 있습니다.
    • 학생은 사감선생님께 직접 찾아갈 필요 없이 앱으로 자습실, 잔류 등을 신청하고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Backend

  • 효율적인 유지보수와 기능 확장을 위해 DB Table과 아키텍처를 계획적으로 설계합니다.

    • 불필요한 중복 데이터, 중복 코드 없는 깔끔한 구조를 지향합니다.
    • 로직과 각 도메인의 역할이 명확히 구분되도록 합니다.
  • 개발 효율을 위해 가독성에 항상 신경씁니다.

    • 적합한 변수, 메서드, 클래스 명을 작명할 수 있도록 합니다.
    • detekt를 사용해 일관적인 스타일의 코드를 작성합니다.
  • 프로젝트 구조나 설계 과정을 Notion 문서에 기록합니다.

  • 서버 인프라는 Terraform을 사용해 구성합니다.

ERD

image

archtecture

지향하는 방향

  • DDD
    • 도메인의 역할, 책임 분리
    • 각 객체가 서로간에 과하게 의존하지 않도록 하여 유지보수성 높임
  • Facade pattern
    • usecase 코드(facade)의 DB 쿼리 호출에 대한 의존 분리
    • (각 service method는 하나의 의미를 가지는 단위로 구성)
  • Hexagonal Architecture
    • 비즈니스 로직과 기술에 대한 상세 구현 분리
    • core - 핵심 로직 및 도메인 모델에 대한 코드
    • presentation - 웹 통신에 대한 관리 및 설정
    • persistence - DB 통신에 대한 관리 및 설정
    • infrastructure - 전체에 적용되는 필터, 설정이나 기타 third party 라이브러리에 대한 구현

처리 flow

(의존 방향이 아니라 진행 방향임)

flowchart TD
WA[webAdapter] --> UC[usecase];
UC -->|getService| P(command / query port);
UC -->|commandService| P;
UC -->|checkService| P;
P --> PA(adapter);
Loading

presentation module

1. webAdapter

웹에서 요청을 받아, request body나 parameter 내용을 검증하는 역할

  • 외부 요청은 webRequest 객체로 전달된다.

  • webAdapter는 usecase에게 request 객체 또는 value를 전달한다.

    (request는 해당 객체로 domain이나 entity를 생성하야하거나, 별도 로직이 필요한 경우 정의함)

  • usecase의 반환값을 그대로 반환한다.


core module

2. usecase (facade)

각 usecase에 대한 facade를 나타내는 역할

  • service 메서드를 호출하여 facade를 구성함 (port에 직접 의존하지 않음)

    • 전체적인 흐름만 나타내고, 도메인이나 query 호출에 대한 자세한 구현은 X → service에 메서드로 분리
  • usecase에 특화된 로직을 직접 구현할 수도 있음

  • usecase는 service에게 domain model 또는 value 을 전달한다.

  • usecase는 webAdapter에게 response 객체를 반환한다. (field가 nullable인 별도 domain model로 리팩토링 예정?)

3. service

query나 port 호출을 domain과 관련된 추상적 의미 단위로 묶어주는 역할

  • ex. A 조회시 해당 객체가 같은 학교의 객체인지 항상 검증해야한다. → usecase에서 queryPort를 호출하고 매번 schoolId 비교를 해주지 않고, 해당 동작은 service에 메서드로 구현한다. 그리고 usecase에서 A를 조회해야하는 경우 service에 정의되어있는 메서드를 사용한다.

service 종류 (깔끔한 분류를 위해 나눔)

  • CheckService

    • 검증 메서드
    • 주로 exist 확인 등등..
  • GetService

    • 조회 메서드
    • 비슷한 쿼리가 필요한 경우 파라미터 nullable로 놓고 전달 (persistence쪽에서 동적쿼리 구현)
    • 필요한 경우 안에 체크 로직이 같이 들어갈 수 있음
  • CommandService

    • 저장 혹은 삭제 메서드
    • 필요한 경우 안에 조회, 체크 로직이 같이 들어갈 수 있음
  • delegate 패턴을 활용하여, 각 service 클래스 정의를 분리했다. [ 참고 : Service 구조 ]

4. port

  • persistence나 infrastructure 계층과 소통하기 위한 interface (spi)

persistence / infrastructure module

5. Adapter

  • persistenceAdapter : JPA, QueryDSL을 통한 쿼리 구현
  • 또는 기타 기술이나 라이브러리에 의존하는 세부 구현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