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df14d0ee3bb55564e4a5874d7737483b678362cb Mon Sep 17 00:00:00 2001 From: Seongil-Shin Date: Tue, 17 Dec 2024 18:55:54 +0900 Subject: [PATCH] vault backup: 2024-12-17 18:55:54 --- ...t know JS Yet 2\353\266\200 - Appendix.md" | 445 ++++++++++++++++++ 1 file changed, 445 insertions(+) create mode 100644 "_posts/blog/posts/You don't know JS yet/2024-12-17-You don't know JS Yet 2\353\266\200 - Appendix.md" diff --git "a/_posts/blog/posts/You don't know JS yet/2024-12-17-You don't know JS Yet 2\353\266\200 - Appendix.md" "b/_posts/blog/posts/You don't know JS yet/2024-12-17-You don't know JS Yet 2\353\266\200 - Appendix.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cefbdbc89 --- /dev/null +++ "b/_posts/blog/posts/You don't know JS yet/2024-12-17-You don't know JS Yet 2\353\266\200 - Appendix.md" @@ -0,0 +1,445 @@ +--- +title: You don't know JS Yet 2부 - Appendix +author: 신성일 +date: 2024-12-15 19:00:00 +0900 +categories: study, YDKJSY +tags: + - "#study" +--- +## A.1 암시적 스코프 + +스코프는 가끔 명확하지 않은 위치에 생성된다. 일반적으론 이러한 암시적 스코프가 작동에 영향을 주진않는데, 알고 있으면 유용하다. +- 매개변수 스코프 +- 함수명 스코프 + +### 매개변수 스코프 + +함수 매개변수는 함수 스코프에서 지역으로 선언한 변수와 동일하다고 하였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다. + +아래와 같이 단순한 매개변수 형태는 함수 스코프와 매개변수 스코프가 같다. + +```js +function getStudentName(studentId) { +} +``` + +하지만 기본값이 있는 매개변수, ...을 사용하는 나머지 매개변수, 비구조화 매개변수의 경우에는 매개변수 자체적으로 스코프를 형성하고, 함수 스코프는 그 아래 형성된다. (**단순하지 않은 매개변수는 자체 스코프를 형성한다**) + +```js +function getStudentName(/* 파란색 버블 (스코프) */studentId = 0) { + // 초록색 버블 (스코프) +} +``` + +그 이유는 단순하지 않은 매개변수 형태에서는 다양한 예외 케이스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자체 스코프를 형성한다. +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연산이 수행되면서 `maxId`는 초기화되어있지 않으므로 TDZ 에러를 발생시킴. +```js +// TDZ 에러 발생 +function getStudentName(studentId = maxId, maxId) { +} + +// 문제 없음 +function getStudentName(maxId, studentId = maxId) { +} +``` + +- 기본 매개변수에 함수 표현식이 있는 경우 매개변수 자체에 대한 클로저가 생길 수 있어 복잡성이 더 증가한다. + +```js +// id를 재할당하여 5가 출력됨 +function getStudentName(id, defaultId = () => id) { + id = 5; + console.log(defaultId()) +} +getStudentName(3) // 5 + + +// var id가 매개변수 스코프 내의 id를 가려서 defaultId의 클로저는 매개변수 스코프를 가리키고 있기에 3이 출력됨 +function getStudentName2(id, defaultId = () => id) { + var id = 5; + console.log(defaultId()) +} +getStudentName2(3) // 3 +``` + +- 아래와 같이 과거 코드와의 호환 문제로 상황이 더 복잡해진 경우가 있다. +```js +function getStudentName(id, defaultId = () => id) { + var id; // 호환 문제로 매개변수와 깉은 이름의 지역변수는 undefined로 초기화하지 않고, 매개변수 id를 매개변수 값으로 초기화함. + console.log(id, defaultId()) + + id = 5; // 지역변수를 5로 재할당하여 매개변수와 다른 스코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 console.log(id, defaultId()) +} +getStudentName(3) +// 3, 3 +// 5, 3 +``` + +따라서 이러한 차이에 영향을 받지 않으려면 다음 사항을 유념해야한다 +- 지역 변수로 매개변수를 섀도잉하지마라 +- 기본 매개변수에서는 다른 매개변수를 참조하지마라 + +### 함수명 스코프 + +함수이름 스코프에서는 함수 자체의 스코프에 함수 표현식의 이름이 추가된다고 설명하였다. +```js +var askQuestion = function ofTheTeacher() { +} +``` + +이때 ofTheTeacher가 askQuestion이 선언된 외부 스코프에 추가되지 않지만, 단순히 함수 내부 스코프에 추가되는 것도 아니다. 이 경우도 암시 스코프의 예외 케이스를 만든다 + +```js +var askQuestion = function ofTheTeacher() { + let ofTheTeacher = "some name" // 중복 선언 오류를 발생하지 않는다 +} +``` + +let은 재선언이 불가능하지만 함수명인 `ofTheTeacher`와 다른 스코프에 있기에 섀도잉으로 처리된다. 실무적으로 이러한 경우가 중요할때가 거의 없지만, 이슈를 피하기 위해 함수 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변수를 함수 본문 내부에서 let으로 선언하는 것은 피하라. + + +## A.2 익명 함수 vs 기명 함수 + +요약 +- 이름 추론은 불완전하다 +- 렉시컬 이름을 사용하면 자기 참조가 가능하다 +- 이름은 설명을 제공하기에 유용하다 +- 화살표함수에는 렉시컬 이름이 없다 +- IIFE에도 이름이 필요하다 + +### A.2.1 명시적 혹은 추론된 이름 + +기명함수를 사용하여 함수의 이름을 명시적으로 남기면 스택트레이스에서도 함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별개로 익명함수를 사용하더라도 이름이 추론되는 경우가 있다 + +```js +var notNamed = function() {} +var config = { + cb: funcion() {} +} + +notNamed.name; // notNamed +confib.cb.name; // cb +``` + +이와같이 JS는 이름을 추론하기에 추론된 이름을 사용해도 되지만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 + +### A.2.2 이름이 없다면? + +이름 추론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들이 있기에, 이름 추론에 의존하는 것은 불완전하다 + +- 콜백 인자로 전달 시 이름 추론 안됨 +```js +function ajax(url, cb) { + console.log(cb.name) +} + +ajax("some.url", function(){}) + +// "" +``` + +- 함수 표현식을 단순 할당이 아닌 다른 형태로 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추론에 실패함. +```js +var config = {} +config.cb = function(){} +config.cb.name; // "" + +var [noName] = [function(){}] +noName.name; // "" +``` + +### A.2.3 나는 누구일까요? + +렉시컬 이름 식별자가 없으면 함수는 내부적으로 자기 자신을 참조할 방법이 없다. 자기 참조는 재귀나 이벤트 처리하는 작업에서 매우 중요하다 + +### A.2.4 이름은 설명입니다 + +함수에 이름을 넣지 않으면 코드를 이해하기가 어렵다 + +### A.2.5 화살표 함수 + +화살표함수는 이름 추론을 통해 이름이 붙더라도 항상 익명이다. 따라서 사용을 지양하는 것이 좋다. + +화살표함수에는 목적이 있지만, 이는 타이핑 횟수를 줄이는 것이 아닌 화살표 함수 렉시컬 this 동작을 이해해야 제대로 쓸 수 있다. + +간단히 말하면 화살표 함수의 this는 렉시컬 스코프에 의해 결정된다. 화살표 함수 자체는 this를 가지지 않으며 화살펴 함수 안에 this를 사용하면 다른 변수 참조처럼 작동한다. 즉 화살표 함수는 this를 다른 렉시컬 변수처럼 취급한다. 이러한 동작을 사용해야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var self = this` 와 같은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 내부 함수 표현식에 `.bind(this)`를 호출하는 것 대신에 사용하기 위해 + +### A.2.6 IIFE + +IIFE 에도 이름을 붙이는 것이 좋다. + +이와 별개로 IIFE는 보통 함수 표현식을 `()`로 감싸서 정의하는데, 이는 JS 파서가 function 키워드를 만났을때 함수 선언문으로 해석하지 않게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도 활용가능하며 취향껏 선택할 수 있다 +- `()`로 감싸기 +- `!`, `+`, `~`, `void` 등의 단항 연산자를 function 앞에 놓아 표현식으로 만들기 + +```js +(function thisIsIIFE() {})() +!function thisIsIIFE() {}() ++function thisIsIIFE() {}() +~function thisIsIIFE() {}() +void function thisIsIIFE() {}() +``` + + +## A.3 호이스팅 : 함수와 변수 + +함수, 변수 호이스팅이 왜 유용하고 배워야하는지 + +### A.3.1 함수 호이스팅 + +함수 선언문은 컴파일 단계에서 호이스팅 되기에 함수 식별자는 스코프 시작 부분에 함수 참조로 자동 초기화된다. + +이를 사용하면 함수 실행은 코드 위쪽에서하고 선언은 아래쪽에 배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배치는 복잡한 함수 내부를 아래로 숨길 수 있기에 함수 세부 사항을 굳이 파악하지 않고도 코드의 작동을 파악하기 편하다 + +```js +getStudents() + + +function getStudents() { + var whatever = doSomething(); + + return whatever; + + function doSomething() { + // ... + } +} +``` + +### A.3.2 변수 호이스팅 + +함수 호이스팅과 다르게 변수 호이스팅은 가독성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유용한 경우는 적은데 저자의 생각으로는 CommonJS에서 비공개 변수를 하단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도움이 된다고 한다. + +```js +var publicAPI = Object.assign(module.exports, { + getStudents +}) + +// 비공개 구현 +var cache = {} +var otherData = []; + +function getStudents() { + // ... +} +``` + +## A.4 var에 대한 변론 + +변수 호이스팅과 관련하여 JS 개발 중 발생하는 여러 이슈의 원인은 주로 var와 관련된다. 여기서 살펴볼 것은 다음과 같다 +- var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다 +- let은 우리들의 친구이다 +- const의 유용성은 제한적이다 +- var와 let을 사용하는 최선의 방법은 둘의 장점을 모두 취하는 것이다 + + +### A.4.1 var를 버리지 마세요. + +var 에는 문제가 없고 var 만의 장점이 있다. 따라서 무조건 쓰지말자고 하는 것은 장점을 버리는 일이다. + +### A.4.2 혼란스러운 const + +const 를 사용하면 얻을 수 있는 약간의 이점은 있지만, const를 사용하면서 겪는 혼란보다는 크지 않다. + +const는 변경할 수 없는 값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재할당을 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객체, 배열과 같이 변경할 수 있는 값에 const를 사용하면 나중에 수정이 발생할 수 있다 + +```js +const studentIds = [12,41,51] +studentsIds.push(55) // 동작함 +``` + +물론 `41`, `"name"`과 같은 원시값을 사용할 때는 변경할 수 없지만, 이런 이점을 취할 일은 거의 없다. const는 블록 스코프이고 블록은 짧아야한기에 실제로 const가 영향을 끼치는 범위는 작다. + + +### A.4.3 var와 let + +var를 사용할 때 +- 함수의 최상위 스코프에서 사용 (처음, 중간, 끝 관계없이). 전역에서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음 +- 반복문 내에서 선언한 변수를 조건문에서도 보고 싶을때 +- 의도하지 않은 블록 내에 선언이 있을때. (ex : try...catch) + +```js +function commitAction() { + do { + let result = commit(); + var done = result && result.code == 1; + } while(!done) +} + +function getStudents() { + try { + var records = fromCache("학생") + } catch(e) { + var records = [] + } + return records +} +``` + +let을 사용할 때 +- 블록 안에서만 사용하는 경우 + + +이처럼 var의 함수스코프라는 특성과 여러번 안전하게 재선언이 가능하다는 특징은 잘 활용하면 유용하다. + + +## A.5 TDZ + +TDZ가 필요한 이유에 대한 절 + +### A.5.1 모든 일이 시작된 곳, const + +TC39에서는 ES6 개발 초기에 const와 let을 호이스팅 해야할 지 여부를 결정해야했다. 결과적으로 아래와 코드에서 블록 내부에서 일관된 변수만 사용하도록 하기위해 호이스팅 하도록 결정하였다. + +```js +let greeting = "hi" +{ + console.log(greeting) + let greeting = "hello"; +} +``` + +만약 호이스팅 되지 않으면 블록 전반부에는 상위 스코프의 변수가, 후반은 새로 선언된 변수가 적용되는 혼란스러운 동작이 발생했을 것이다. + +let과 const가 var 처럼 undefined로 자동 초기화 되지 않는 이유 또한 이러한 호이스팅과 관련있다. 다음과 같은 경우, undefined로 초기화된다면 const는 상위에서는 undefined인데 아래에서는 값이 할당되고 그 이후에는 값이 재할당안되는 비직관적인 동작이 발생했을 것이다. (const는 상수라 변하면 안되는데 변경됨) + +```js +{ + console.log(studentName) + const studentName = "kevin" +} +``` + +이런 이유 때문에 let, const는 호이스팅 되지만 값이 없는 시간대가 있고 이 시간대에 변수에 접근할 경우 TDZ 오류를 발생시키자고 하였다 + +### A.5.2 곁다리 let + +TC39 는 let 에 const와 마찬가지로 TDZ를 도입하자고 결정하였다. 이는 개발자들로 하여금 변수를 신중하게 사용하고, 변수를 그 변수를 사용하는 코드의 상단에 선언하도록 하여 가독성을 높여 도움이 된다. + +다만 저자의 생각은 다른 것 같다. let은 var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이 직관적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 +## A.6 동기 콜백도 여전히 클로저일까? + +### A.6.1 콜백이란, A.6.2 동기 콜백 + +콜백에는 비동기콜백, 동기 콜백이 있다. +- 비동기 콜백 : 미래의 어느 시점에 되돌아와 다시 호출하는 함수. +- 동기 콜백 : `Array.map`의 인자와 같이 당장 호출되는 함수로, 되돌아올 곳이 없음. 콜백보다는 DI, IoC라는 용어가 적합함. + +### A.6.3 동기 클로저 + +동기 콜백의 경우 콜백이 실행되는 위치가 자신이 선언된 스코프이다. + +```js +function printLabels(labels) { + var list = document.getElementById("labelsList"); + labels.forEach( + function renderLabel(label) { + var li = document.createElement("li"); + li.innerText = lebel; + list.appendChild(li); + } + ) +} +``` + +따라서 동기 콜백에서 외부 스코프의 변수를 참조하더라도 이는 자신의 스코프에서 참조한 것이지 클로저를 통해 접근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동기 콜백의 경우는 클로저가 형성된다고 보기 어렵다 + +### A.6.4 클로저 지연 + +커링을 수동으로 적용하면 클로저를 사용할 수 있다 + +```js +function printLabels(labels) { + var list = document.getElementById("labelsList"); + var renderLabel = renderTo(list); + + labels.forEach(renderLabel) + + function renderTo(list) { + return function createLabel(label) { + var li = document.createElement("li"); + li.innerText = lebel; + list.appendChild(li); + } + } +} +``` + + +## A.7 클래식 모듈 변형 + +클래식 모듈 패턴 예시 + +```js +var StudentList = (function defineModule(Student){ + var elems = []; + + var publicAPI = { + renderList() { + } + } + + return publicAPI; +})(Student) +``` + +이와 같은 패턴은 나중에 변형해서 사용할 수 있다. 어떤 모듈 로더를 사용하더라도 클래식 모듈의 변형일 뿐이다. + +### A.7.1 내 API는 어디에 있나요? + +위 예시에서 `publicAPI`는 따로 객체로 생성하지 않고 return 문에 직접 선언할 수도 있고 이러한 방식이 더 많이 쓰인다. 하지만 저자는 따로 객체로 생성하는걸 선호하는데 이유를 다음과 같이 들었다. + +- publicAPI 라는 이름 자체가 객체의 목적을 명확하게 해주므로 가독성을 높인다 +- publicAPI를 따로 두면 모듈이 살아있는 동안 API에 접근하거나 수정할때 유용하다 + +### A.7.2 AMD (비동기 모듈 정의) + +RequireJS 를 쓰면 쉽게 구현 가능한 모듈 패턴으로, 몇 년전 인기를 끈 스타일의 모듈이다 + +```js +define(["./Students.js"], function StudentList(Student) { + var elems = []; + + return { + renderList() { + // ... + } + } +}) +``` + +### A.7.3 UMD + +UMD 는 구체적인 패턴이라기보다 비슷한 형식들의 모음에 가깝다. UMD는 브라우저, AMD 스타일 로더, Node.js 에서 모듈을 읽어올때, 별도의 변환도구 없이 더 나은 상호 운용성을 위해 설계되었다 + +```js +(function UMD(name, context, definition){ + // AMD 스타일일 경우 + if(typeof define === "function" && define.amd) { + define(definition); + } + // Node.js 일 경우 + else if(typeof module !== "undefined" && module.exports) { + module.exports = definition(name, context); + } + // 독립형 브라우저 스크립트일 경우 + else { + context[nama] = definition(name, context); + } +})("StudentName", this, function DEF(name, context) { + var elems = []; + + return { + renderList() { + // ... + } + } +}) +``` +